소소한생활요리

무우 이야기~우리 몸에 정말 좋은 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영양과 효능 보관법 말랭이차 우리 무 이야기 [오늘한입]

오늘 생활 2020. 12. 16. 16:24
728x90
반응형

 

 

무우 이야기를

한 번 먼저 해보려고 합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4대 채소 중 하나인 무는 김치뿐 아니라 나물, 국, 조림 등 다양한 메뉴에 다양한 조리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품종뿐 아니라 부위에 따라서도 각기 다른 맛과 쓰임새를 가진 무는 감기 예방과 소화 기능 개선, 숙취 해소, 항암 효과, 다이어트 등 다양한 효능을 갖고 있다.

외국어 표기

Daikon, white radish(영어)

분류

채소 > 근채류

원산지

지중해 연안

주요 생산지

-  : 전북 고창/부안, 충남 당진
- 여름 : 강원 평창/홍천/정선/강릉
- 가을 : 강원 홍천/평창, 경기 여주, 충남 당진
- 겨울 : 제주도

특징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채소 중 하나인 무는 알싸하면서도 달콤한 맛을 내며, 계절에 따라 다른 맛을 갖고 있다.

종류
(구분, 품종)

월동무, 봄무, 총각무, 열무, 일본무 등

효능 및 영양성분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무에 함유된 메틸메르캅탄 성분은 감기 균 억제 기능이 있어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다.

열량

100g 33kcal

음식궁합

문어와 함께 사용하면 문어를 연하게 하고 특유 냄새를 제거해 준다.

활용

김치의 주재료 중 하나로 활용되며, , 볶음, 조림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고르는 법

하얗게 윤기가 있고 단단한 것, 매끈하고 상처가 없는 것, 그리고 초록색을 띠는 무청이 달린 무가 싱싱하다.

손질법

일반적으로 무는 깨끗이 씻은 후 용도에 따라 쓸 만큼의 크기로 잘라 밀폐 용기 등에 보관하면 된다.

보관법

무를 오랫동안 저장하기 위해서는 4~5의 냉장 온도가 적당하다. 잎을 잘라내고 흙이 묻은 상태로 랩이나 종이에 싼 후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 저장한다.

무란?

[네이버 지식백과] 무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무는 배추, 고추, 마늘과 함께 한국인들이 가장 즐겨 먹는 채소 중 하나로, 겨울철에도 노지재배가 가능해 예로부터 먹거리가 귀한 겨울을 날 수 있게 도와주는 중요한 채소 역할을 해왔다.
무는 더위에 약하고, 서늘한 기후에서 가장 잘 자라기 때문에 겨울 무는 당분이 많고 조직이 단단해 어떤 요리를 해도 풍부한 맛을 낸다. 반면 여름 무는 겨울 무에 비해 조직이 연하며, 물러지기 쉽고 상대적으로 단맛이 덜하다. 쓴맛 또한 강한 편이어서 당분을 첨가한 조리법을 사용하면 좋다. 무의 품질이 떨어지는 시기에는 순무, 콜라비 등 무를 대체할 수 있는 식재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종류

외관 및 용도

월동무

월동무는 뿌리가 단단하고 매운맛이 덜해 생으로 먹어도 달고 맛이 좋다. 따뜻한 남쪽 지방과 제주도에서 주로 생산되며 일반 무에 비해 추위에 강해 바람이 잘 들지 않고 아삭하다. 매년 30만 톤 이상 생산된다.

봄무

봄무는 봄철에 시설과 노지재배로 출하된다.  2개월 정도의 생육기간을 가지며, 김치, 생채, 육수 등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봄무는 수분이 많고 육질이 부드러워 생채로 활용할 때 특히 좋다.

총각무

총각무는 일반 무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으며, 전분질이 많고 매운맛이 강하다.
김장철 총각김치를 만들거나 동치미를 만들 때 주로 활용한다. 매운맛이 강하기 때문에 김치를 담그면 어느 정도 익혀서 먹어야 매운맛이 빠지고 양념이 배어 맛있다.

열무

열무는 어린 무라는 뜻으로 연중 출하되며 재배 기간이 짧다. 김치용으로 주로 이용되며, 특히 무청은 수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아삭한 식감이 있어 싱싱한 무청으로 물김치를 담가 먹기도 한다.

일본 무 

일본 무는 단무지를 담그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길이가 약 30~35cm 정도로 길며 주로 금강, 한강, 낙동강, 영상강변이나 이들 하천의 지류에서 재배된다. 중국에서 일본을 거쳐 국내에 들어온 것으로 다른 무에 비해 일반 소비량이 큰 편은 아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무의 영양 및 효능
무는 비타민 C의 함량이 20~25mg으로 겨울철 중요한 비타민 공급원 역할을 해왔다. 무에 함유된 메틸메르캅탄 성분은 감기 균 억제 기능이 있어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며, 글루코시노레이트 성분은 독성을 제거해주고 식중독 예방과 항암효과에 좋다. 또 무는 콜레스테롤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어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이며, 무에 함유된 아밀라아제와 디아스타제는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하는 성분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위장 기능을 증진해주기 때문에 소화 기능 개선에 효과적이며, 높은 수분 함유량으로 숙취의 원인이 되는 성분을 배출시켜주고, 탈수 증상을 막아줘 숙취 해소에 효과적이다. 
특히 무의 뿌리에는 배변 과정에 필요한 섬유질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변비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수분함량은 높고 열량은 낮은 반면 포만감은 커 다이어트에도 적합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우리랑 많이

친숙한 무우 이야기 입니다. 

비타민 c 도 많이

함량 되어있어서 

우리 몸에 좋구요~ 

 

여러가지 요리에 같이

사용하기에 좋은 식자재인 무~

입니다. 

 

각종 국이나 찌개~ 

조림등~ 

무우차 만들기 도 좋고

무말랭이만든차 효능 

우리 몸에 정말 좋은 채소입니다. 

 

아주 다양한 곳에 

사용되는 식재료 입니다. 

건강하고 

영양과 효능도 만점 이네요~ 

 

 

 

728x90
반응형